주휴수당 자동계산기계산법, 지급기준
알아두면 좋은 정보 이번 포스팅은 나의 주휴수당이 얼마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간편계산기를 통해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을 계산하기 전에 주휴수당을 받을수 있는 지급기준을 먼저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있습니다. 이미 위에서 다. 말씀 드렸다시피 소정 근로시간, 근로일수, 연속적인 일을 했을 경우가 지급기준이 됩니다.
근로계산기 연차계산기
아래와 같이 입사일자와 계산직선 마지막 근무일를 입력합니다. 입사일자를 2020년 3월 2일 그리고 계산일자마지막 근무일를 2023년 4월 2일로 가정했을 경우, 아래와 같이 근속연수, 휴가종류, 연차일수, 휴가발생일, 휴가 소멸일까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근속연수 3년 차 휴가종류 연차 일수 16일 휴가발생일 20230302 휴가 소멸일 20220302 2020년 4월 2일 입사를 가정하였을 때, 1년 미만15년 근속의 경우 또 그 이상 근속했을 때의 연차도 함께 확인이 가능합니다.
2020년 4월 2일 입사기준 가정했을 경우 연차발생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급제의 경우 일반적인 임금 계산
일급제의 시간급 일반적인 임금 일반적인 임금 계산법이 참 어렵게 느껴집니다. 자동계산기를 이용하시면 간편하면서도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해볼 수 있으실 겁니다. 시간급일반적인 임금 일급임금8시간 8시간 넘는 부분에 할증율 증가해서 계산. 즉 일급금액 1일의 소정근무시간 시간 외 근무시간 times 1.5 예를 들어 1주 5일 40시간 근무, 기본급 250만원,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해마다 상여금 합계를 100만 원으로 가정하고 입력해 보았습니다.
고정수당 합계란? 식대, 직무수당, 직책수당과 같은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받는 수당의 합계를 말합니다. 해마다 상여금 합계란? 규칙적으로 지급이 확정된 있는 상여금의 합계를 말합니다.
퇴직금 1년 기준은?
만약 1월 1일에 입사하여 12월 30일까지 일하고 12월 31일에 퇴사하면 365일이 아닌 364일로 을 받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 근로일이 12월 31일이고 1월 1일이 퇴사일이어야만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월 1일에 입사하여 12월 31일까지 일하고 1월 1일 퇴직 시에는 1월 1일에 일어나는 연차 15개에 대한 미사용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일반적인 임금 계산법
통상임금은 시간급으로 산정합니다. 시간당 일반적인 임금 기본급 고정수당 divide 월소정근무시간 만약 상여금이 고정적으로 나타나면 상여금 divide12개월을 포함하여 시간당 일반적인 임금 기본급 고정수당 연간상여금 상여금 divide 12개월 divide 월소정근무시간 이유는 통상임금을 기본으로 활용하는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등이 시간 단위로 산정되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
네이버 검색창에 임금계산기를 입력하시면 바로 나옵니다. 링크를 들어가셨다면 아래 이미지의 초록박스들을 주목합니다. 상단의 시급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시급이 얼마인지 입력하시고, 주급으로 환산 이렇게 세팅하시고, 근무시간을 선택 근무시간으로 합니다. 오늘 근무시간, 한주 근무규정을 입력한 뒤 계산하기를 클릭하시면 추정 주휴수당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근로계산기 연차계산기
아래와 같이 입사일자와 계산직선 마지막 근무일를 입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급제의 경우 일반적인 임금
일급제의 시간급 일반적인 임금 일반적인 임금 계산법이 참 어렵게 느껴집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퇴직금 1년 기준은?
만약 1월 1일에 입사하여 12월 30일까지 일하고 12월 31일에 퇴사하면 365일이 아닌 364일로 을 받을 수 없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